프랑스, 물 부족 위기
작성자 정보
- 최고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0 추천
- 목록
본문
2022년 겪은 물 위기, 변화 없으면 매년 여름 '일상화'될 수도
© Le HuffPost
프랑스가 농업부터 에너지 부문까지 전 분야에 걸쳐 물 관리 방식을 근본적으로 바꾸지 않는다면, ‘2022년 여름 겪었던 물 위기가 앞으로는 일상이 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이는 정부 산하 기관인 ‘전략·기획 고등기관(Haut-Commissariat à la Stratégie et au Plan)’가 6월 25일(현지 시각) 발표한 보고서를 통해 제기한 내용이다.
보고서는 “현재 추세를 꺾지 못할 경우, 2050년까지 프랑스 본토 면적의 88%가 여름철 물 사용과 관련해 중강도 또는 매우 심각한 수준의 압박 상태에 처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또, 모든 분야에서 ‘물 절약형 사회’를 지향하는 과감한 전환 정책을 추진하더라도, ‘물 부족 상태에 놓일 프랑스 본토의 비율은 겨우 64%까지 밖에 줄지 않을 것’으로 보고서는 예측했다.
전략·기획 고등기관은 “어떤 시나리오이든, 2022년처럼 프랑스 전역 대부분에서 농업, 산업, 가정용 물 사용에 제한 조치가 불가피할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보고서 발표 자리에서 전략·기획 고등기관의 원장, 클레망 본(Clément Beaune)은 “2022년 당시 프랑스 영토의 86%가 크고 작은 물 사용 제한 조치로 긴장 상태에 있었다”고 상기했다. 그는 “간단히 말해, 2022년에 우리가 겪은 상황이 지구 온난화와 수자원 압박으로 인해 2050년에는 ‘정상적인 일 상(상황)’이 될 것”,이라며 “매우 냉엄한 현실”이라고 경고했다.
프랑스가 물 관리 방식에 변화를 주지 않거나, 이미 시행한 조치들에만 의존할 경우, 한여름인 8월에는 "2020년에서 2050년 사이에 수자원 상황이 악화되는 유역이 전체의 약 90%에 달할 것"이라고, 이번 보고서의 공동 저자 헬렌 아람부루(Hélène Arambourou)는 지적했다. 이러한 악화를 막기 위해서는 "모든 분야와 인간 활동 전반에서의 절제된 물 사용", 즉 "절수 노력이 필요하다"고 아람부루는 강조했다.
예를 들어, 농업 분야에서는, 관개 시설이 갖춰진 경작지 면적의 확대를 공공 당국이 ‘규제’하거나, 토양 내 물 저장을 개선하는 농생태학적 관행을 확산시키는 방안이 언급되었다. 주거 부문에서는 ‘건물 단위의 물 재사용’이, 에너지 부문에서는 ‘원자력 발전 생산량을 80% 감축하는 것’이 제안되었다.
보고서는 끝으로 "이러한 지역에서는 2050년경 매년 생태계가 만성적인 스트레스 상태에 놓일 수 있으며, 이는 생태계의 기능을 장기적으로 심각하게 저해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따라서 생태계의 회복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서식지 다양화’를 통한 ‘환경 보전 및 복원이 절실하다’고 거듭 강조했다.
<현 경 기자 dongsimjeong@gmail.com>
관련자료
-
다음
-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