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한인 분류

재외국민, 이제 국내 휴대전화 없이, 재외공관 방문 없이 국내 온라인 서비스 받을 수 있어

작성자 정보

  • 최고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 재외국민 비대면 신원 확인 시스템(재 외동포인증센터) 시범 서비스 개시

- 전자여권으로 어플리케이션 통해 비대면 인증


40370cf8bf7ebfaf814483c885212d4a_1733783862_0882.jpg
재외동포인증센터 시범 서비스 개시 기념 행사에서                                                                                                           사진 출처: 재외동포청


재외동포청(청장 이상덕, 이하 `동포청`)은 11월 28일(목)부터 방송통신위원회(직무 대 행 김태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상 임),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위원장 김창경) 와 함께 해외 체류 국민의 국내 디지털 서비 스 접근성·편의성 제고를 위해「재외동포인 증 센터」서비스를 시범 개시한다고 밝혔다. 


 동포청은 지난 3월 상기 관계부처들과 업무 협약식을 체결한(`24.3.11.) 이후, 기관 간 실무협의, 민간 사업자 대상 사업설명회 등을 통하여 전자여권을 기반으로 한 재외국민 비대면 신원확인 시스템(재외동포인증센터) 를 마련하였다. 


그동안 해외에 거주하는 우리 국민은 국내 온라인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원거리 재외 공관을 방문하여 공동‧금융인증서를 발급받 아야만 했고, 인증서를 발급받더라도 실제 서비스 이용을 위해서는 국내 휴대전화 본인확인을 요구하고 있어, 디지털 사각지대에 놓여 있었다. 


하지만 이제 재외국민도 ①재외국민 등록 을 하고, ②주민등록번호 보유 및 ③유효한 전자여권을 보유하고 있으면 민간 어플리케 이션을 통하여 비대면으로 재외국민 인증서 를 발급받아 온라인 신원 확인을 할 수 있게 되었다. 


11월 28일 서비스 개시와 함께, 신한은행, 비바리퍼블리카(토스) 앱에서 재외국민 인증서 발급(재외동포 365 민원포털, 대한민국 아포스티유 등)이 가능하며, 국민은행, 우리 은행, 하나은행은 12월 중 발급(기존 계좌 보 유자에 한하여 계좌조회, 계좌이체 등 전자 금융서비스)이 가능하다. 


 또한, 현재 발급 가능한 인증서 5종 이외에도 재외국민이 이용할 수 있는 인증서를 지속 추가하여 재외 국민이 더 다양한 인증서를 발급받을 수 있 도록 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2025년 재외동포인증센터 정식 서비스가 개시되면, 재외국 민인증서를 통해 전자정부 서비스, 전자금융 서비스, 비대면 의료 서비스(의료기관별 비대 면 진료 예약, 진료확인서 조회 및 발급 등), 온라인 교육 서비스, 온라인 쇼핑 등 국내 각 종 온라인 서비스를 재외국민이 더 쉽고 편리 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추진할 계획이다.


이를 기념하여, 동포청(청장 이상덕, 센터 장 김연식)과 방송통신위원회(사무처장 조 성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정보보호네트워 크정책관 김남철) 등 관련 기관들은 시범서 비스 개시일에 맞춰 기념행사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에서는 참여기관의 기념사‧축사 등 및 5개 사업자 재외국민 인증서 발급 서 비스 온라인 현장 시연과 개소식을 진행하 여 서비스 개시에 대한 기념과 함께, 많은 재외국민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대국민 홍보도 함께 진행하였다. 


재외동포청 이상덕 청장은 “동포사회는 재외동포청 출범 후 동포 권익 향상에 나아진 것이 무엇인지 궁금해했다. 이번 서비스는 가장 체감할 수 있는 서비스”라면서, “해외에서 조금이라도 살아본 사람은 이 서비스 의 중요성을 실감할 것이며, 시범 서비스지 만 동포사회에 널리 확산될 수 있도록 알리 는 데 힘써 달라”고 요청했다. 또한 “기존 재외국민은 해외 거주 시 국내 금융거래 등을 위해서 국내 휴대전화를 유지해야 해서 불필요한 비용을 부담해야 했고, 공관에서 멀리 떨어진 지역에 거주하는 동포들은 인증을 위해 멀리 있는 공관에 방문해야 해서 무척 힘들었다”며, “이번 재외동포 인증센터 서비스 개시는 국내의 발달한 IT를 행정에 접목시킨 좋은 사례로서, 재외동포청 은 앞으로도 디지털 민원서비스를 지속 확대 할 수 있도록 하겠다”라고 밝혔다.


<출처: 재외동포청, 파리광장 재편집>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