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문화,예술 분류

기메 박물관 (Musée national des Arts asiatiques – Guimet)과 한국

작성자 정보

  • 최고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프랑스에 도착한 최초의 한국인 

                                                                                                                                                                                         

acb311cd7135990d77a9d5efbf2bedbd_1718659451_6167.jpg

Hong Tjyongou (홍정우), 프랑스에 도착한 최초의 한국인[2].


작년 2023년에 기메 박물관 (Musée national des Arts asiatiques Guimet)에서 한국영화 특별상영회가 있었다

기획팀에서는 김기덕 감독의 영화 《봄 여름 가을 겨울 그리고 , 2003》을, 나는 나홍진 감독의 영화 《곡성 哭聲, 2016 》의 상영을 원하여서 결국 영화를 상영하게 되었다. 행사는 상영 전에 영화에 대한 소개를 하고 상영 관객과의 대화를 하는 것으로 진행되었다


상영이 시작되기전 나는 마이크를 잡았다. « Mesdames et Messieurs, 신사 숙녀 여러분. 유럽최대의 아시아 박물관에서 한국영화를 소개하게 되어 매우 기쁘게 생각합니다. » 나는 무언가 기메 박물관과 한국의 관계에 대한 멘트가 필요하다고 느꼈다


«  유서 깊은 박물관에는 한국의 회화 각종 문화유산을 전시하는 한국 컬렉션  자리잡고 있습니다. 파리의 기메 박물관은  1889 지금의 자리에서 개관하였고 이듬 해인 1890년부터 한국 컬렉션 (la collection coréenne) 오픈을 준비하기 시작합니다. 그런데 담당자는 동양의 망또 (두루마기) 휘날리며 독특한 모자() 착용하고 있었습니다. 그는 프랑스에 도착한 최초의 한국인이었습니다영화의 최초 유료 공공 상영이 1895 파리에서 이루어지고 한국인 배우가 등장하는 영화가 1919년에 서울에서 개봉하였으므로 조선에서 신사가 한국의 영화를 소개하는 일은 시기적으로 불가능한 것이었습니다. 그런데 135년의 세월이 지난 오늘 드디어 한국의 영화의 상영회를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 


나의 멘트가 마음에 들었는 박물관 진행팀에서는 고맙다는 인사와 함께 나에게 다음 상영회에서도 이야기를 다시 해줄 있겠냐고 물어보았다.

 

사진은 프랑스 국립도서관 사이트에서 제공하고 있는 1892년도의 사진이다. 들여다보면 « 프랑스에 도착한 최초의 한국인 »이라 적혀 있다. 사나이에게는 어떠한 사연이 있었을까 ?


(다음 회에 계속)


acb311cd7135990d77a9d5efbf2bedbd_1718660084_4827.png
강창일, 연극영화 박사 (프랑스 파리 8대학), 비교문화연구자 (파리 10대학), 무성영화의 변사[1]  


[1]저서:

Chang-il Kang, Les débuts du cinéma en Corée, Roquebrune-Cap-Martin, Ocrée Editions, 24 septembre 2020, 253 p. ISBN 979-10-96382-14-9

Chang-il Kang, Le cinéma coréen contemporain : A l'aube de Parasite, Roquebrune-Cap-Martin, EDITIONS OCREE, 2023, 192 p. ISBN 979-10-96382-46-0




[2] 프랑스 국립도서관 Bibliothèque nationale de France, département Société de Géographie, SG PORTRAIT-2122BNF: http://gallica.bnf.fr/ark:/12148/btv1b8453583c/f1.item [consulté le 18 octobre 2017].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