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 몽드(Le Monde) "한국 남성, 프랑스 여성들이 동경하는 이상적인 남성 이미지"
작성자 정보
- 최고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5 추천
- 목록
본문
“세련되고 로맨틱하면서 유혹적인 캐릭터들을 통해, K드라마(K-dramas)의 젊은 배우들은 전 세계에 퍼져가는 한류 문화의 최고 대표자로 자리매김했다. 이들 배우들은 전통적인 미국의 대형 영화에서의 (섹스 심볼, sex-symbols virils과 같은) 강렬한 남성 이미지와는 정반대로, 새로운 형태의 이상적인 남성 이미지(une nouvelle forme d’idéal masculin)를 보여주고 있다“. 고 프랑스 유력 일간지, 르 몽드(Le Monde)가 보도해 눈길을 끈다.
지난 5일(현지 시각) 프랑스 유력 일간지 ‘르몽드’에서는 ‘프랑스 여성들이 한국 드라마에서 묘사된 한국 남성의 세심하고 다정한 이미지에 매료됐다’며, ‘실제로 한국 남성과 교제하기 위해 노력하는 프랑스 여성들이 있다’고 전했다. 이어 ‘K-드라마’의 젊은 배우들이 전 세계를 휩쓸고 있는 한류의 최고 홍보대사가 됐다”고 보도했다.
빛나는 몇 가닥 머리카락이 [그]의 큰 검은 눈 위로 느슨하게 흐른다. [그]의 태도는 고요하며 피부는 부드럽고 옷차림은 완벽하게 맞춰져 있으며 체형은 날씬하다. [그]는 사랑을 찾고 있지 않지만, 곧 새로운 감정의 폭발에 놀라게 될 것 같다. 화면에서 이런 이상적인 청년의 원형은 이종석, 이민호, 김수현, 서인국과 같은 배우들이 연기했다. 이들 배우들은 한국의 다양한 드라마 장르들 중 특히, ‘로맨스’가 성공의 큰 역할을 하는 K드라마 덕분에 세계적인 스타로 거듭났다.
"매혹적인 한국의 아바타(L’avatar)"
예전 ‘미국 블록버스터 속의 강인하고 섹시한 남성상과 달리, 최근 한국 드라마에서 그려지는 새로운 형태의 부드럽고 환상적인 남성상이 프랑스 여성들을 매료시킨다’ 고 르몽드는 전했다. 이와 관련해, 한국 전문 작가 오펠리 쉬르쿠프는, “한국 드라마에는 성관계 장면이 거의 등장하지 않고 대신 감정이 깨어나는 여러 단계를 조심스럽게 탐구하는 데 시간을 쏟는데, 이런 부분이 프랑스 여성들에게 인기를 얻고 있다”고 설명한다.
샤를린 가콩(Charline Gacon, 24세)은 르몽드와의 인터뷰에서 “드라마 ‘화랑’과 ‘달의 연인 :보보경심 려’ 등을 봤다.”며, "감성적이고 세심한 한국 남성의 이미지"를 발견하고 이에 매혹되었다고 인정했다. 그는 "시골에서" 자란 [자신]의 환경과는 정반대인 남성상의 한 형태라고 밝히며, "나는 한 번도 프랑스 남자와 연애한 적이 없다. (하지만) 내가 알고 있는 그들은 마초적이고, 자기자신을 돌보지 않고 무심한 사람들로 보였다."고 말했다. 그는 학업을 마친 후 현재 서울에 정착해 콘텐츠 크리에이터 및 모델로 활동 중이라 밝혔다. “한국인들은 프랑스인들보다 감수성이 더 뛰어나다는 느낌이 든다. 여기(한국)서는 남성들이 스킨케어를 하고, 아침에 파운데이션을 바르는 것이 정상이다(이상하지 않다). 여성으로서 우리는 제모를 하고, 머리를 길게 유지하고, 스스로를 돌보는 것에 강한 압박을 받았다. 다른 나라에서 이런 압박을 받는 사람들이 더 많다는 것을 보면, ‘우리는 더 이해받는다’고 느껴진다”고 자신의 속내를 밝혔다.
‘드라마와 현실을 구분해 접근할 필요가 있다’ 지적
드라마와 현실은 엄연히 차이가 있다. 현실의 모든 한국 남성들이 드라마 속 남성들과 같진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때문에 ‘드라마 속 남성 캐릭터에 지나치게 몰입하면 안 된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적지 않다. 특히, ‘문화적 차이’를 극복하고 장기적인 교제관계를 유지하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라는 것이다. 이와 관련해, 르몽드는 “많은 서양 여성들이 여행이나 유학, 또는 취업을 위해 한국에 오면서 사랑하는 사람을 만날 수 있다는 희망을 갖고 있지만 (좋은) 관계를 맺는 게 쉬운 일은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또 “일부 팬의 경우 드라마 속 캐릭터와 사랑에 빠지면서 이론을 실행으로 옮기려 시도한다”고 전했다. 실제로 “소셜미디어 ‘틱톡’ 등 에는 ‘한국 남자친구를 사귀는 법’이란 주제로 프랑스어와 영어로 된 동영상이 수십 개 올라와 있을 정도”라고 보도했다. 하지만, “가부장적이고 가족주의적인 구조가 여전히 한국 사회에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고 지적하면서, “한국 남성과 관계를 맺는 건 매우 어렵고 실제 (이러한) 다문화 커플도 소수”라고, 사회학자 실비 옥토브르(Sylvie Octobre)의 말을 빌려 전했다.
<파리광장/ 현 경 dongsimjeong@gmail.com>
관련자료
-
다음
-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