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은행, 무단 자동결제 신종 사기 유행
작성자 정보
- 최고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4 추천
- 목록
본문
계좌 명의인 승인 없이 자동 결제되는 이 신종 사기는?
최근 들어 많은 사람들이 본인 스스로 어떠한 유럽 결제(SEPA*)를 승인하지 않았음에도 자신의 계좌에서 돈이 인출되었다는 사실을 확인한 경우들이 있다. 사기 경보 전문 사이트(Signal Arnaques) 웹 사이트는 프랑스에서 유행하는 이 새로운 사기에 대해 경고한다고 RTL등 다수의 매체가 전했다.
*"SEPA". 약어 "SEPA"는 영어 용어인 Single Euro Payments Area (프랑스어, espace unique de paiement en euros)의 줄임말로, ‘유로화로 통합 결제 공간’을 뜻한다. 유로 지역 내 34개 국가(유럽 연합 모든 국가, 모나코, 스위스, 노르웨이, 아이슬란드, 리히텐슈타인, Liechtenstein및 이탈리아의 세인트 마린, Saint-Marin) 간의 통합 결제 시스템을 말한다.
은행계좌에서 앞으로 거래될 인출내역을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한다. 왜냐하면, 현재 프랑스에서 여러 방식의 은행 사기 행위가 만연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 중 한가지로 수십 명의 사람들이 은행 계좌 내역을 확인하다가, 예기치 않게 ‘(자신도 모르는) 유지 보수 작업’이라는 (이유로)명목의 (본인 승인 없는) 유럽 결제(SEPA), 즉 ‘앞으로 예정된 인출’을 발견했다고 증언했다. 이러한 인출은 소액일 수도 있고, 실제로 당사자들이 요청하지 않은 인출이기 때문에 상당한 금액이 될 수도 있다. RTL이 보도한 바에 따르면, ‘당사자의 승인이 없는 상태에서 발생한 이러한 인출은 최대 600유로까지 이루어 질 수 있다’고 사기 경보 전문 사이트 Signal Arnaques의 경고를 인용했다.
하지만, 다수의 (인터넷) 이용자들은 종종 ‘여러 차례에 걸쳐 400, 589유로 또는 450 유로와 같은 금액이 인출 당했다(되었다)’고 설명했다. 한 피해자는 "하루에 ENS에서 599와 399 유로의 두 번의 부정 인출이 있었다"라고 증언했다. 또 다른 피해자는 “오늘 400유로가 청구되었다”라고 말했다. 해당 인출은 "ENS"라는 회사에 의해 수행되었는데, 이 회사는 자신들이 "유지 보수 작업"을 하고 있다고 명시했다. 그러나 피해자들 중 대부분이 이 회사에 대해서 전혀 알지 못했으며, Signal Arnaques는 “이것은 SEPA 인출로, 아마도 피해자의 승인이 없었을 것이다”라고 말한다. 또, “이에 해당하는 사람들(피해자들)은 자신의 은행에 연락하여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이 같은 사기성 자동 인출이 되었을 경우에 대처 방법은?
Signal Arnaques 웹사이트에는, "EEE** 내에서 13개월 이내의 무단 청구는 (피해 당사자) 은행에서 환불해야 합니다. 허가(승인)를 입증하는 책임은 귀하의 은행에 있습니다."라고 명시한다.
(**EEE는 "유럽 경제 지역(Espace économique européen, European Economic Area)"의 약자다. 이것은 유럽 연합의 27개 회원국과 아이슬란드, 리히텐슈타인, 노르웨이를 포함하는 경제 지역으로서, SEPA(유럽 단일 지불 지역) 관련 규칙이 EEE 내에서 적용된다.)
유럽 직불 결제 SEPA는 승인되었더라도, "실행 후 8주 내에 취소 요청이 가능하다"라고 이 전문 사이트는 덧붙인다. 이 기간 안에, 은행은10 일 이내에 환불을 해야 하거나 거부의 이유를 설명해야 한다. 공공 서비스 사이트에서는 (본인) 승인 여부에 관계없이 자동 이체에 이의를 제기하기 위해 전용 탭에서 따라야 할 단계를 설명하고 있으니 주의 깊게 살펴볼 것을 권한다.
정리하면, 만약 여러분의 은행 계좌에서 이와 같은 사기성 인출이 확인된다면,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은행에 연락하여 해당 인출을 취소하도록 요청하는 것이다. 은행에서는 자신의 계좌를 보호하기 위해 해당 인출이 수행되기 전이나 수행된 후 일정 기간 내에 취소를 요청할 수 있도록 되어있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사기성 인출을 신고한 후, 가능하다면 이를 증명할 수 있는 모든 자료(이메일, 문자 메시지, 청구서 등)를 보관하는 것이 좋다. 이를 위해 Signal Arnaques와 같은 사기 신고 사이트를 활용하면 도움이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국가 및 유관 당국(경찰, 공정거래위원회 등)에 신고하여 범인 검거나 은행의 환불 요청에 도움을 받을 수 있다.
<파리광장/ 현 경dongsimjeong@gmail.com>
관련자료
-
다음
-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