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칼럼 분류

<땡큐 맘, 지니의 단상> 자식들이 내 품을 떠나기 시작할 즈음에

작성자 정보

  • 최고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d94d4ad90eab343e0b7a8ddec24f94e6_1679952338_2755.jpeg
 


어느날 둘째 아이가 외쳤다. "엄마 , 자전거 배우고 싶어!"라고  나의 어린 시절, 자전거를 제법  탔던 기억은 있지만 아이에게 어떻게 가르쳐줘야할지 방법도 모르겠고 막막하기만 했다. 일단 자전거라는 도구를 마련했고, 놀이터로 나가 연습에  비틀거리는 아이를 위해 갖은 힘으로 뒤에서 잡아줬다.  '엄마는 그렇게 잡아주면 어떡해'  , '너가 그렇게 타니 자꾸 넘어지지' ,자전거를 가르치는건지 모녀간에 다투는 건지잡아주는 나도 힘들었지만, 혼자서 균형을 잡으려 애쓰는 아이도 무척이나 힘들어 보였다. 결국 아이는 번의 엉덩방아를 찧었고 여러 넘어져 고통스러워하는 아이를 일으켜 세우고, 달래면서, 다시 아이의 뒤를 잡아줘야만 했다. 어느 순간 제법 타기 시작했다. 살짝 손을 놓아도 봤다. 혼자서 탔다. 아이는 신났다. 이제 엄마는 여기서 기다리라하고 혼자서 놀이터 바퀴 돌고 오겠다 한다. 아이는 이제 자전거타기의 즐거움에 몰입된 같았다. 아주 가끔씩 엄마가 제자리에 있는 확인만 했다. 나는 놀이터에서 우두커니 서서 계속 아이만 주시했다. 즐거워하는 아이를 보니 뿌듯하기도 했고, 다치지 말았으면 하는 걱정과 함께 묘한 공허함이 겹친다.

중학교 때 영어 선생님의 강한 가르침으로 암기한 숙어가 생각났다.

"look after , take care of,  돌보다, 보살피다

결국 아이가 혼자 자전거타기를 위해 끊임없이 아이의 뒤에서 보살핌의 태도를 취하고 있었다.

3월이다. 그렇게 보살피던  딸들이 입학과 학원을 위해서 곁을 떠난다. 약간의 서운함과 사랑이 비워지는 시간들에 대한 두려움 탓인지  " 빈둥지  증후군" 앞당겨 걱정도 해보지만, 떠나가는 아이들을 보니 그래도 많이 키웠나보다라는 생각도 든다. 하나의 생명체로 태어나  '성장과  독립'이라는 길고도 힘든 과정을 겪어내야 했기에,  엄마인 나로서는 고스란히 몫을 함께 해야만 했다. 때로는 힘겨운 아이를 달래며 키웠고, 때로는 아이만큼 힘겨웠던 속의 아이도 달래가면서, 우리는 함께 성장해온 같다. 며칠 ,  지난 3 지내면서 세번이나 병원 입원을 하며 사랑을 확인시켜준 둘째가 미안한듯 내게 물었다.

 "엄마는 다음 세상에도 애기 낳을꺼야?"  힘들었던 시간들을 떠올리며 당연히 '네버' 라고 손사래를 치고 싶었지만 흔쾌히 ""이라고 대답했다.  아이 덕분에 어머니의 소중한 희생과 아픔을 알게 되었고, 모나고 각진 삼각 관계의 사랑이 아니라 수직적 일직선 상에 놓인 무한한 사랑을 또한 알게 되었다. 또한 엄마이자 동시에 자식이라는 중간자적 입장에서  아이의 입장을 이해할 필요가 느껴질 때는 어릴 나를 불러보았고, 엄마로서 힘들 때는 기억 엄마에게 진심 죄송해졌다. 타인의 입장을 알고 이해해 보려한다는 깨달음이었고,  깨달음은 삶에 대한 태도를 겸허하게 해주었다.

이제  딸들은 자전거를 타고 약간의 자신감과 함께 놀이터 바깥으로 나간다. 시야에서  벗어난다. 나는 이제 집에 들어와 언젠가 안전하게 돌아올 아이들을 믿고 기다리며  마냥 아이들에게만 집중하던 시선을 돌려본다. 내가 아이들을 바라본 시간보다, 오랫동안  한결같이 멀찌감치에서 나의 뒤를 지켜보고 계시는 나의 엄마 쪽으로 돌려본다.


<땡큐 , 지니 >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