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프랑스 분류

프랑스, 50년 전 학교 내 교사 폭력으로 첫 번째 고소 제기

작성자 정보

  • 최고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be7595ae99bb73134375be0ccd5d3c6d_1745264382_8128.jpg
 

가톨릭 사립학교 학대 및 폭력 사태인 베타람 사건(l’affaire Bétharram)의 여파로, 1970년대 한 공립학교(une école publique) 에서 발생한 아동 대상 폭력에 대해 첫 번째 고소가 제기되었다. 그동안 주로 가톨릭 사 립 교육 재단을 중심으로 제기되던 학대 의혹이 이제 공립 교육기관으로 확산되며, 과거 교육 현장에서의 폭력 실태에 대한 전면적인 조사와 진상 규명이 요구되면서 사건의 향방에 귀추(歸趨)가 주목된다.


63세의 질 파랑(Gilles Parent)씨는 4 월 10일 바욘(Bayonne)검찰청에 고소장을 제출했다. 그는 1970년대 피레네-아틀 랑티크(Pyrénées-Atlantiques) 지역 앙글 레(Anglet)의 장 조레스 초등학교(École Jean-Jaurès) 재학 중 겪은 폭력 피해를 주장하고 있다. 이번 고소는 베타람 사건의 여파로 제기된 공립학교를 대상으로 한 첫 사례로, 공교육 내 학대 실태에 대한 진상 규명 요구가 확산되고 있다. 


고소인인 60대 남성은 한 교사를 지목하며, 해당 교사가 교장직을 겸하던 시절 자신을 나무 막대기로 엉덩이를 때리는 방식으로 반복적으로 체벌했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 다른 교사에 대해서도 증언했다. 해당 교사는 나무 자를 들고 교실을 돌아다니며, 학생들을 무작위로 때렸다고 한다. 피해자는 “그 교사는 자가 부러질 때까지 아이들을 때렸다”고 증언했으며, 이는 일간지 리베라시옹 등을 통해서도 보도되었다. 그는 반복적인 모욕적 행위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받아쓰기를 검사할 때, 아이들은 교사 책상 옆에 앉아야 했다. 그 교사는 아이의 허벅지 안쪽, 가장 민감한 부위를 두 손가락으로 집어 강하게 비틀었고, 받아쓰기에 오류가 보이면 그 고통주기를 멈추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질 파랑(Gilles Parent)씨는 중학교 시절, 피레네-아틀란티크 지역의 우스타리츠 (Ustaritz)에 위치한 가톨릭 사립학교 성 프랑수아 자비에르(Saint-François-Xavier) 에 다녔다. 이 학교는 베타람 사건이 발생한 학교와 같은 지역에 위치하고 있다. 파랑 씨는 리베라시옹과의 인터뷰에서, “성 프랑수 아 자비에르에서도 체벌은 일상적이었다”고 말했다. 질 파랑(Gilles Parent) 씨는 성 프랑수아 자비에르 사립학교의 ‘피해자 모임’을 만든 창립자(Fondateur du collectif des victimes du collège privé Saint-François-Xavie)로, 지난 3월 19일(현지 시각), 학교 폭력에 대한 국가의 감독 방안을 조사하는 국회 특별위원 회 첫 청문회에서 자신이 그 학교에서 겪은 폭력에 대해 증언했다. 이날 그는 또한 초등학교 시절 겪은 폭력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리베라시옹과의 인터뷰에서 질은 “아무도 내 주장을 주목하지 않았다”고 아쉬움을 표했다. 그는 이어서 “모두가 교회에서 일어난 일만 부각하려 하고, 공립학교에서도 폭력이 일어났지만, 누구도(정치인들도, 언론도)내 고 백을 다루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폭력은 도처에 있었다" 

리베라시옹의 연락을 받은 보르도 교육청은 이번 고소에 대해 “주의 깊게 살펴보고 있다”고 밝혔지만, “50년 이상 지난 사건에 대한 구체적인 증거가 부족하다”고 했다. 질 파랑(Gilles Parent)씨는 자신의 피해자 모임에 “바스크(Pays basque) 지역 공립학교에서 폭력에 대한 증언을 받은 사람들”이 있다고 전했다. 한편, 베타람 사건 이후 프랑스 전역에서 다른 사립학교를 대상으로 한 학대 피해 증 언이 계속해서 늘고 있다. 


리모즈(Limoges) 의 오자남 학교(Ozanam) 학교에서는 전 학생 2명이 각각의 사건에서 성적 학대를 당했다고 증언했고, 오트피레네(Hautes Pyrénées)지역 가톨릭 학교 노트르담 드 가레종(Notre-Dame de Garaison) 학교의 전 학생도 1990년대 초반 발생한 성폭행과 폭력 피해를 주장하며 성명불상의 가해자를 고소했다. AFP 통신에 따르면, 피해자의 변호인 조제프 메사(Joseph Mésa) 변호사는 “의뢰인이 가해자의 신원을 정확히 기억하지 못해, 잘못된 지목으로 누군가에게 불필요한 누명을 씌우지 않기 위해 성명불상자에 대한 고소를 선택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한 당시 상황을 “감시교사들에 의해 강제로 이뤄진 자위 행위 및 성적 접촉과 같은 충격적인 사건들”이었다고 덧붙였다. 해당 인물은 이 후 40여 명 규모의 피해자 모임 단체에 합류했다. 이처럼 수십 년간 침묵해 온 피해자들이 잇따라 입을 열면서, 프랑스 사회는 종교재 단이 운영하는 교육기관 내 구조적 폭력의 책임과 진상 규명 요구는 물론 공교육 내 학대 실태에 대한 전면적인 조사 필요성에 직면하고 있다. 



 <현 경 기자 dongsimjeong@gmail.com>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